취재1팀 진나연 기자
취재1팀 진나연 기자

민선 8기에 접어든 지 약 3개월. 대전지역의 크고 작은 축제들이 속속 손질되고 있다. 10년 넘게 이어지던 축제가 사라지는가 하면 십수년 전 흥행했던 축제가 부활 신호탄을 쏘기도 했다. 일부 프로그램을 보완, 확대하고 기존 명칭 바꾸는 등 소규모로 개편되는 축제도 적지 않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국제와인페스티벌'의 폐지, '대전 0시 축제'의 부활이다.

2012년 10월 처음 선보인 국제와인페스티벌은 올해 11회차를 마지막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그동안 투자대비 실효성·지역 정체성과 부조화 등이 지적돼왔는데 민선 8기 이장우 대전시장의 '경제 최우선' 기조와 부합, '생산성이 떨어지는 축제'라는 판단하에 구조조정된 것이다.

대신 이 시장이 2009년 민선 4기 대전 동구청장 시절 추진했던 '대전역 0시 축제'의 버전업 모델인 '대전 0시 축제'가 내년 8월 새롭게 부활한다.

영국 에든버러 축제를 기본 모델로 추억·과학·예술·음식 등 네 가지 테마를 중심으로 육성, 원도심 활성화는 물론 지역 경제로 직결되는 대표 축제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동구의 경우 기존 '대전부르스 축제'를 '대전역 0시 축제'로, '대동천 가든페스티벌'을 '대동천 소문난 청춘 페스티벌'로 이름을 바꿨다. 중구는 민선 8기 공약사업으로 '함께하는 중천(中川)축제'를 계획하고 있다. 대덕구는 '대코 맥주페스티벌'을 '대덕거리 페스티벌'로 변경하고 대상 지역을 확대했으며, 대청호대덕뮤직페스티벌은 개최 시기를 조정했다.

지역에서 열리는 축제는 그 곳의 특색, 분위기, 문화를 나타내는 것은 물론 주민 화합을 이끄는 또 하나의 공동체 행사이기도 하다. 먹거리와 관광 등과 연계돼 경제의 한축을 담당하는 역할도 한다. 이같은 측면에서 새로운 지역축제를 새롭게 개편하고 정체성을 고민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다만 그만큼 충분한 고민과 심도있는 논의가 동반된 합리적인 절차가 필요하다. 새 단체장 공약, 경제 파급 효과 등에 따라 축제의 흥망성쇠가 섣불리 결정된다면 지역 고유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행재정적 낭비를 부를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