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유엔 연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유엔 첫 연설에서 국제사회의 협력과 연대를 통한 자유 수호 의지를 천명했다. 윤 대통령은 20일(현지 시간) '자유와 연대:전환기 해법의 모색'이라는 제목의 연설에서 "한 국가 내에서 어느 개인의 자유가 위협받을 때 공동체 구성원들이 연대해 그 위협을 제거하고 자유를 지켜야 하듯 이 국제사회에서도 어느 세계 시민이나 국가의 자유가 위협받을 때 국제사회가 연대해 그 자유를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유엔 연설 키워드는 단연 '자유'다. 이번 연설에서 '자유'를 무려 21차례나 언급했고, 이런 자유를 지키기 위한 자유 진영의 연대에 방점을 찍었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 대통령 취임식과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자유'를 강조했는데 유엔 데뷔 무대에서도 '자유'를 화두로 던진 것이다.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지향하는 방향이 자유이고, 그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자유 진영이 연대하고 힘을 합쳐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자유와 평화가 힘에 의한 현상변경, 핵무기, 인권 유린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한 부분도 주목할 만하다. 특정 국가를 콕 집어 말하지는 않았지만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 핵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북한, 신장위구르와 티베트에서 인권을 침해하고 있는 중국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전임 대통령들과는 달리 유엔 연설에서 북한을 직접 언급하지 않은 점도 의미 있게 와닿는다. 무언의 메시지에는 북한 눈치를 살피지 않고 자유 진영의 연대를 통해 북한 핵무장에 대응하겠다는 윤 대통령의 '단호한 의지'가 읽힌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1년 전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을 언급하며 종전 선언에 매달린 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물론 야당에서는 자유와 연대에 대해 "너무 추상적이며 한가롭고 공허한 단어들의 조합에 불과하다"고 혹평하고 있지만 다분히 정치 공세적인 측면이 강하다.

윤 대통령의 해외 순방은 이제 막 반환점을 돌았다. 영국 여왕의 장례식과 유엔총회가 계기가 됐지만 더 중요한 것은 한미, 한일 정상회담이다. 미국과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일본과는 강제 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 두 차례 정상회담은 '자유와 연대'라는 가치 동맹을 확인하면서도 국익을 챙기는 자리가 되기 바란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