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의원과 인사하는 권성동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이 비상대책위회 체제 전환을 위해 급피치를 올리고 있다. 지난 5일 상임전국위원회를 연 데 이어, 9일에는 전국위원회와 화상 의원총회를 통해 당헌 개정도 확정지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5선 주호영 의원에 대해 비대위원장 지명도 마무리할 게 확실시 된다. 속도전을 방불케하는 일정이다. 이후 다시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비대위원 구성까지 마치면 오는 12일 비대위 체제가 출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달 8일 이준석 대표 징계 사태 후 우여곡절 끝에 집권 여당이 비대위 간판을 걸게 되는 것이다.

당 최고의사결정 기구인 최고위원회도 8일 사실상 문을 내린 상태다. 이 대표와 가까운 정미경 최고위원도 최고위원 사퇴를 선언했고 당 살림을 총괄하는 한기호 사무총장과 두명의 부총장도 일괄 사퇴하면서다. 이 대표 지도부 사람으로 김용태 (청년)최고위원이 버티고는 있지만 대세가 이미 굳어진 만큼 불가항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로써 윤석열 정부 취임 석 달만에 비대위 체제가 들어서는 이례적인 상황을 앞두고 있는 게 국민의힘의 현주소다. 이른바 친윤 그룹과 이 대표 측간의 갈등과 알력이 이 대표 징계라는 임계점에서 폭발하면서 이 대표 지도부가 와해되는 국면으로 치달은 결과라는 분석이 가능하다. 그 와중에 대통령 국정지지율마저 급락세를 보인 것도 비대위 출범을 자극한 측면이 없지 않다고 할 것이다. 비대위 출범이 임박했지만 당내 일각의 반작용 기류도 여전해 순항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우선 비대위 성격과 운영시기를 놓고 갑론을박이 진행중이다. 사실 비대위 성격은 이름 붙이기 나름이고 비대위원장 리더십에 따라 당내로 수렴할 수 있는 문제지만 운영시기의 경우는 다툼의 여지가 없지 않다. 대체로 '2개월'안과 '5개월'안이 부딪치는 형국인데 차기 전당대회 일정과 맞물려 선을 분명히 해둘 필요가 있지 않나 싶다. 비대위원 구성 문제도 녹록지 않은 과제다. 친윤계 색채가 과도하면 이게 또 불씨가 될 수 있는 까닭이다.

이렇듯 비대위가 출범해도 문제의 끝이 아닌 문제의 시작일 수 있는 현실을 국민의힘은 직시하지 않으면 안된다. 비대위 체제 전환은 위기 수습을 위한 수단일 뿐이다. 비대위 성패가 당의 구심력 복원에 달렸다고 보는 것도 그런 연유에서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