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와 전쟁이 부추긴 고물가·저성장
지역 경제 총체적 위기 속 지방선거 D-5
'소중한 한 표' 가 도시 경쟁력 성패 좌우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맹태훈 취재2팀장 겸 세종취재본부장
맹태훈 취재2팀장 겸 세종취재본부장

경제 위기가 심상치 않다. 유류와 식자재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상황에서 글로벌 공급 병목 현상이 장기화되며 최악의 인플레이션 위기에 직면했다. 개선 흐름을 보이고는 있으나 코로나 19 팬데믹이 여전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언제 끝날지 장담하기 어려운 만큼 경기 후퇴의 비관적 전망도 지속된다. 금융당국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고물가를 극복하려고 하지만 물가상승 압력이 글로벌 경제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퍼져 이를 잠재우기에 역부족이다. 그러다 보니 대출이자는 자고 일어나면 오르고 있고 증시는 하루하루 낙폭을 키워나가고 있다. 여기에 외환시장에서의 달러 강세가 두드러지며 금융시장도 흔들리고 있다. 가뜩이나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의 폭등과 함께 금융시장의 불확실성까지 커지며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고물가+저성장) 위기에 직면한 셈이다. 코로나라는 역대급 역병의 터널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상황에서 경기 침체의 덫에 걸려 지역 경제가 바람 앞 촛불 신세로 전락했다.

때마침 6.1 지방선거가 닷새 앞으로 다가왔다. 지방선거는 광역단체장(시·도지사), 교육감, 기초단체장(자치구·시·군의 장), 지역구 광역의원, 지역구 기초의원, 비례대표 광역의원, 비례대표 기초의원을 한꺼번에 선출하는 것으로 지역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대사가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지역의 경제 위기감이 최고조에 달한 상황에서 치러지는 선거인만큼 유권자들의 기대도 여느 선거와 달리 커져있다. 때문에 광역단체장 후보에서부터 기초의회 후보군까지 저마다 지역사회의 살림을 책임질 수 있는 일꾼임을 자처하고 있다. '공공기관을 유치하겠다', '상가 공실을 해결하겠다', '인구유입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 '기업과 공장을 유치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 '일자리 창출과 고용의 질을 높이겠다', '코로나 여파로 힘에 겨운 소상공인에 맞춤형 지원책을 펼치겠다'…. 이렇듯 지역 현안 해결뿐 아니라 대다수 후보가 경제부문 적임자임을 내세우며 표심 공략에 한창이다. 그런 점에서 유권자들은 투표하기 전 후보자들의 면면을 살펴보는 게 중요하다. 이들 후보가 내건 공약이 실천 가능한지, 정말로 준비된 일꾼인지를 가려내야 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번 선거가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치러짐에 따라 향후 정국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여야 간 한 치 물러섬 없는 전면전 속에 과열 혼탁 양상을 빚고 있다. 게다가 선거 막판에 이른 시점에서도 각종 여론조사 결과 충청권은 여야 초박빙으로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안갯속 판세다. 이렇다 보니 정책이나 공약 대결보다는 '네거티브' 공방만 가득한 선거전으로 치닫고 있다는 지적이다. 부동산 투기 의혹을 놓고 벌이는 공방은 단골 메뉴가 된 지 오래고, 흑색선전에서부터 고소·고발까지 '진흙탕 싸움'으로 얼룩지고 있다. 경제 위기 속 유권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지만 네거티브 공방은 선거 막바지로 갈수록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인다.

선거전에서 후보자들의 도덕성 검증은 빼놓을 수 없지만 상대방의 부정적 요소와 의혹만 강조되다 보면 유권자들에게 정치적 무관심을 불러와 자칫 '깜깜이 선거'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앞서 언급했듯이 '지역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대사'라는 지방선거의 대명제는 온데간데없고 진영 간 치열한 다툼으로 막을 내린 지난 대선의 연장선으로 흘러가는 게 아닌가 우려가 드는 대목이다. 유권자의 소중한 한 표가 무엇보다 중요해진 셈이다. 후보 간, 진영 간 네거티브 공방을 벌일지언정 어느 후보가 지역의 각종 현안에 대해 비전과 실천 가능한 약속을 하고 있는지, 단순히 표심을 얻기 위한 선심성 공약은 아닌지 유권자들의 냉철한 판단이 요구된다. 이번 선거는 특히 각각의 후보 자질도 중요하겠지만 유권자의 선택에 따라 도시 경쟁력의 성패가 좌우되는 중요한 선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아직 코로나19라는 어둠의 터널을 빠져나오지 못한 채 지역 경제 전반에 걸쳐 위기감이 최고조에 달했기 때문이다. 부디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위기를 기회로 삼고 지역 발전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