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
성호르몬 조기분비, 최종 키 작아져
식습관 관리·꾸준한 운동 병행해야

한창 자랄 나이에 있는 아이들을 둔 부모의 입장에서는 아이가 또래보다 너무 작아도 고민이지만 너무 빨리 자라도 고민이다. 바로 '성조숙증' 때문이다. 요즘 아이들이 옛날에 비하면 사춘기가 빨리 오는 편이나 그 시기가 너무 빠르다면 성조숙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오준석 건양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의 도움말로 성조숙증의 증상과 예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증상과 원인=최근 성조숙증 어린이 환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연간 성조숙증으로 진료를 받은 어린이는 2016년 8만 6000여 명에서 2020년 13만 6000여 명으로 불과 4년 사이에 1.5배 정도 급증했다.

성조숙증은 만 8세 미만 여아나 만 9세 미만 남아에서 사춘기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여아는 가슴 몽우리가 발달하고 남아는 고환의 크기가 4㎖ 이상 커지게 된다. 음모가 발달하기도 한다. 키가 6개월에 4㎝ 이상 급격하게 자라는 것도 성조숙증의 일종이다.

성조숙증의 원인은 뇌, 고환, 난소 또는 부신 등의 종양을 비롯한 병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경우와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특발성으로 나뉘는데 최근 발생하는 성조숙증은 대부분 특발성이다. 환경적 요인인 비만 유병률 증가, 내분비교란물질의 노출 증가, 전자파, 시각적인 자극, 스트레스 등이 성조숙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치료=성조숙증 치료는 4주 간격으로 생식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작용제를 접종받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는 사춘기 진행을 억제함으로써 발달을 또래와 맞추고 최종 성인 키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약제 투여 후에는 사춘기 진행에 따른 급성장 정도가 감소되고 뼈 나이 증가도 저지된다. 일부는 2차 성징의 쇠퇴가 일어나기도 한다. 치료가 계속되는 동안 성호르몬은 억제돼 있다가 적당한 시기에 치료를 중단하면 사춘기가 다시 진행하게 된다. 간혹 부작용을 걱정해 치료를 꺼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 호르몬은 전 세계적으로 40여 년 이상 투약된 치료제로 부작용이 없다는 것이 입증됐기 때문에 안심해도 된다.

◇예방=성조숙증 예방을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성조숙증은 비만, 특히 지방세포와 연관이 있으므로 식사는 골고루 건강한 식단을 적당량만 먹도록 하고 되도록 천천히 하는 것이 좋다. 기름기가 많은 음식은 최대한 피하고, 열량이 많으면서 영양가가 적은 패스트푸드는 가능하면 먹지 않도록 한다.

이와 함께 규칙적인 운동도 병행돼야 한다. 성장기의 소아나 청소년들이 규칙적으로 운동하면 비만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장에도 좋은 영향을 준다. 운동 대부분이 도움이 되지만 줄넘기와 스트레칭 등은 키의 성장까지 이어질 수 있으니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좋다. 운동은 적어도 일주일에 3회 이상 규칙적으로 하도록 하며, 한 번 운동할 때에는 한 시간 이상 하는 것을 권한다.

가능한 한 일찍 자는 것도 도움이 된다. 늦게까지 자지 않고 깨어 있으면 몸 안의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돼 멜라토닌의 주 역할인 '성호르몬 억제작용'이 줄어들게 된다. 밤 10시 이후에는 아이가 잠자리에 들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어둡게 해주며 잠잘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또한 컴퓨터나 TV, 스마트폰 등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성조숙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해당 기기의 과도한 사용을 자제시키는 것이 좋다. 환경호르몬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성조숙증 발생 증가 원인으로 내분비교란물질이 자주 언급되고 있다. 플라스틱·일회용 용기 등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성조숙증이 있으면 또래보다 키와 체격이 커진다. 이런 경우 우리 아이가 잘 크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성호르몬의 조기 분비로 인해 다른 아이들보다 성장판이 일찍 닫히면서 최종적으로 키가 작아지게 된다. 치료 시기가 너무 늦어지면 그만큼 치료 효과도 낮아지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확인을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평상시 아이의 가슴 몽우리나 고환 크기를 확인하기 쉽지 않으므로 초등학교 1-2학년 정도에는 증상이 없더라도 소아내분비 전문의를 찾아 성장과 성조숙증에 대한 평가와 상담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도움말=오준석 건양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오준석 건양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오준석 건양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