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와 호흡기질환
안질환·피부질환 등도 유발
천식 발작 심하면 사망까지
야외서 코로 숨 들이마셔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40대 직장인 김 씨는 계속되는 기침으로 한 달 째 병원을 찾고 있다. 감기약을 처방받아 약을 먹어도 소용없었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수 년 전부터 봄이 되면 이러한 증상이 생긴다는 것을 깨달았다. 김 씨는 각종 검사를 받은 후 천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이처럼 봄철이 되면 황사현상에 의해 천식이나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호흡기질환 악화로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어난다. 나문준 건양대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의 도움말로 황사가 호흡기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황사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포근한 봄날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두려워하는 사람도 있다. 봄과 함께 찾아오는 꽃가루와 황사, 미세먼지 등에 대한 공포 때문이다.

호흡기질환은 대기오염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특히 황사나 미세먼지, 자동차의 매연 등은 천식, 기관지염, 만성폐쇄성폐질환 등의 호흡기질환뿐 아니라 안질환이나 피부질환 등 다양한 질환들을 발생시키거나 악화시킨다. 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먼지는 폐에 침착이 쉽게 일어나고, 여러 염증물질들이 분비되면서 기관지의 점막이나 폐에 손상을 입힌다. 또한 각종 중금속이 함유돼있기 때문에 노약자와 임산부 등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황사현상은 국내에서 매년 3월에서 5월 사이에 발생하며, 지속일수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황사의 주성분은 `미세먼지`로 10㎛ 이하의 작은 입자는 코와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쉽게 통과해 폐포 깊숙이 자리 잡는다. 황사는 각종 호흡기질환, 알레르기 비염 등을 유발하고 눈이나 피부에 영향을 줘 결막염이나 안구건조증 등 안질환과 때에 따라서는 피부 질환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미세먼지를 동반한 건조한 날씨는 호흡기계의 방어기능을 떨어트려 여러 질병을 유발시킨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황사로 인해 미세먼지가 증가할 경우 호흡기질환뿐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 등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황사와 만성 폐질환=만성 폐질환 중 하나인 천식은 기관지가 예민해진 상태를 말한다. 천식환자들은 평소에 증상이 없더라도 감기에 걸리거나 대기오염이 있는 경우 기관지에 쉽게 염증이 일어나 기관지가 좁아지게 되면서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평소엔 문제가 없다가 황사가 심한 시기에 기침이 오래가거나 호흡곤란 등을 느낀다면 반드시 폐기능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천식 발작이 심할 땐 기관지가 막혀 호흡부전증에 빠지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흡연이나 여러 가지 유해물질 등에 의한 염증반응으로 기관지가 만성적으로 좁아지거나 폐포가 터져 폐기종 변화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러한 질환은 초기엔 증상이 없다가 지속적으로 흡연을 하게 되면 점점 악화돼 지속적인 기침, 가래와 함께 결국 호전되지 않는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주 발생원인이 흡연이지만 공해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은 평소에도 만성기침과 호흡곤란 등 증상을 호소하지만 황사가 심해지면 좁아져 있는 기관지에 염증까지 생겨 증상을 더 악화시킨다.

◇운동과 야외활동=외부에서 활동할 땐 가급적 코를 통해 숨을 들이마시는 것이 좋은데, 코 점막이나 코털에 의해 먼지를 걸러내 폐 깊숙이 들어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실외에서 운동하게 되면 호흡량이 증가해 먼지가 폐로 들어갈 가능성이 많아 황사가 심할 때 야외운동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노인이나 어린이, 만성폐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은 특히 조심해야 한다. 황사의 미세먼지가 폐에 침착하면서 기관지나 폐에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 비교적 건강한 사람에 비해 만성 폐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기관지가 이미 손상돼있어 경미한 염증이라도 기침이나 가래, 호흡곤란 등과 같은 호흡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진단을 받는 것이다. 진단에는 폐기능검사가 필수적이며 조기에 진단을 받는 것이 악화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나문준 건양대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나문준 건양대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