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학기 증후군
새로운 환경 부적응…두통·무기력 호소
분리불안 원인, 부모와 애착관계 중요
질책·방치 삼가고 공감·칭찬 많이 해야

임우영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임우영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초등학교 2학년이 되는 자녀를 둔 주부 김 씨는 얼마 남지 않은 개학이 벌써부터 두렵다. 작년 이맘때의 악몽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아이는 아침만 되면 배와 머리가 아프다며 학교에 가기 싫다고 호소했다. 달래보기도 하고 윽박도 질러봤지만 지속적으로 등교하기를 꺼려해 김 씨의 속을 태웠다.

많은 아이들이 새학기 증후군을 경험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두통이나 복통, 무기력, 수면장애, 식욕부진, 외출거부 등이다.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 방치하면 스트레스가 심해져 다른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임우영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도움말로 새학기 증후군의 원인과 치료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원인=보통 초등학교 신입생은 처음 학교에 가는 것을 어색해하고 불편해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금방 적응하곤 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도 학교에 가는 것을 두려워하는 아이들이 있는데, 이를 `새학기 증후군`이라 한다. 사전적 의미는 새로운 환경에서 나타나는 부적응 양상으로 새로운 환경과 조화로운 관계를 이루지 못하는 것이다. 새학기 증후군은 단순히 학교에 가기 싫다고 하는 것을 넘어 선생님이나 학급 아이들에게 불평을 쏟아내거나 아침에 유독 일어나기 힘들어하고 짜증을 잘 내며 잦은 복통이나 두통 등을 호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아이들은 먼저 분리불안이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분리불안은 학령기 아동의 3-4% 정도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심지어 청소년의 1% 정도도 해당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학업상 문제가 있거나 친구관계 등 사회적 적응에 문제가 있을 때 새학기 증후군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분리불안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있다. 애착관계가 안정적으로 형성된 경우 아이는 정서적 안정을 통해 학교 생활에 잘 적응해나가나, 관계가 불안정하고 부모로부터 충분한 사랑과 공감을 받지 못한 아이는 낯선 환경을 어려워하게 된다. 분리불안이 있는 아이들은 부모가 다치거나 눈에 안 보일 경우 지나친 걱정을 하거나, 갑자기 부모와 헤어지진 않을까 끊임없이 두려워한다. 부모와 떨어지지 않기 위해 집을 벗어나기 싫어하는 것이다.

◇치료=아이가 등교를 거부할 때 꾀병을 부리는 것으로 치부해 지나치게 혼내고 질책한 뒤 억지로 학교에 보내거나, 아이가 바라는 대로 집에 두는 것은 좋지 않다.

아이가 학교에 가지 않을 땐 무턱대고 지켜보기 보다는 적절한 방법을 찾아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일 학교에 있는 것을 힘들어하면 담임선생님과 상의해 1교시까지만 학교에 머무르게 하고 차차 시간을 늘리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학교에 대한 인식을 바꿔주는 것도 필요하다. `규칙을 지키고 말을 잘 들어야 하는 곳`이라는 인식은 부모가 아이에게 학교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을 심어주는 것과 같다. 때문에 학교는 `친구들과 재미있게 지내는 곳`이라고 언급해줘야 한다. 주말에 학교 운동장에서 가족들과 함께 노는 것도 도움이 된다. 학교 건물과 공간에 익숙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아침에 아이를 학교에 보낼 때 꼭 안아준다거나 엄마와의 비밀 인사법을 만들어 재밌게 헤어지는 것도 불안감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엄마가 아이보다 더 일찍 집에서 나가야 할 경우 아이가 작별상황을 싫어할까봐 갑자기 사라지기도 하는데 이는 아이의 불안감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삼가야 한다. 등·하교 시간에 가까운 친구를 만들어 같이 갈 수 있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건강 회복과 자신감 증진도 아이가 학교 생활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 준다.

자녀에게 "자랑스럽고 대견하다"는 칭찬을 자주해주고 부모가 정서적으로 항상 곁에 있다는 안정감을 심어주는 게 중요하다. 초등학교 1학년이 되면 아이가 많이 큰 것 같아도 아직은 부모의 사랑과 배려가 많이 필요할 때다. 학교에 다녀온 아이가 혹시 힘든 일을 겪진 않았는지 공감적인 대화가 필요하다. 가정은 학교에서 지친 심신을 달랠 수 있는 공간이 돼야 한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