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그래픽=게티이미지뱅크]
[그래픽=게티이미지뱅크]
치매란 정상적으로 활동하던 사람이 뇌의 각종 질환으로 인해 지적 능력을 상실하게 되는 경우다. 치매는 다른 병과 마찬가지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치매 증상은 일반적으로 환자나 보호자도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서서히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진단이 어렵다. 치매 초기 증상을 숙지했다가 조금이라도 의심이 되면 진찰을 받아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윤보라 건양대병원 신경과 교수의 도움말로 치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증상=가장 흔한 것은 기억 장애다. 전화번호나 사람 이름을 잊어버리고 약속을 깜빡하거나 약을 먹는 시간을 놓칠 수도 있다. 어떤 일이 언제 일어났는지 기억하지 못하고 같은 질문이나 이야기를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 물건을 어디에 뒀는지 몰라 찾을 때가 빈번해지고, 최근 기억에 비해 아주 젊었을 때나 오래전에 일어났던 일들을 잘 기억하는 편이다. 옛날 일을 잘 기억하기 때문에 기억력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오산이다.

다른 증상으로는 언어 장애가 올 수 있다. 사물 이름이 금방 떠오르지 않거나 적절한 표현을 찾지 못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읽기·쓰기 장애도 나타난다. 공간 지각 능력이 떨어져 방향 감각이 떨어지거나 심해지면 길을 잃고 헤맬 수 있다. 또한 물건을 살 때 돈 계산이 틀리거나 돈 관리에 실수가 잦아진다.

성격과 감정에도 변화가 생긴다. 꼼꼼하고 예민하던 사람이 느긋해지거나, 말이 많고 사교적이던 사람이 말수가 적어지고 표정이 없어지며, 집 안에만 있기를 좋아한다던가 매사에 의욕적이던 사람이 흥미를 잃기도 한다. 생각이 단순해지고 이기적으로 변할 수 있고 남을 의심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전에는 매우 깔끔하던 사람이 세수나 목욕을 게을리 하는 등 개인위생이 떨어질 수 있다.

◇건망증-기억장애-치매 관계=건망증이란 어떤 사실을 잊었다고 누가 귀띔해주면 금방 기억해 내는 현상으로 정상인에게도 흔히 있을 수 있다. 기억 장애는 귀띔해줘도 기억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건망증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기억 장애 외에 방향 감각 저하, 판단력 저하 등 다른 사고력에도 장애를 보일 때가 있을 때 비로소 치매라고 한다. 단순 기억 장애에서 치매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기억 장애가 있을 때 반드시 검사를 받아 보는 게 좋다. 기억 장애가 수개 월을 두고 갈수록 심해지거나 다른 판단력, 사고력 저하가 동반됐을 때 특히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치매 여부 판단=뇌의 여러 기능이 전반적으로 떨어져야만 치매라고 할 수 있다. 뇌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검사자와 환자가 마주 앉아 대화 해보고 환자에게 글씨를 쓰고 그림도 그리게 해 보아야 한다. 여러 자극을 제시하고 이런 것을 얼마나 잘 기억하는지도 살펴야 한다. 이를 `신경 심리 검사`라고 한다. 다른 기능은 다 좋으나 기억력만 떨어져 있는 경우 치매가 아닐 가능성이 많다. 또 다른 기능은 다 좋은데 언어 기능만 소실되면 치매라기 보다는 실어증이라고 해야 옳다.

◇원인 질병=치매는 진단명이 아니라 두통처럼 일종의 증상이다. 두통을 일으키는 원인과 증상이 수없이 많은 것처럼 치매 원인은 다양하다. 즉, 퇴행성(알츠하이머병)·뇌혈관(혈관성치매)·대사성·내분비·감염성·중독성·경련성 질환을 비롯해 뇌수두증과 뇌종양 등 무수히 많다. 이중에서 제일 많은 원인은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치매다. 이들은 전체 치매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80-90%다. 여러 질환 중 퇴행성 질환을 제외하고는 치료가 가능하거나 조기에 발견하면 더 이상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치매가 많다.

치매를 완치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다. 하지만 증상이 더 악화되는 것을 막고 기억력이나 인지 기능 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는 약을 사용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무엇보다 치매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젊은 시절부터 지속적인 건강 관리를 하고, 치매 위험 인자에 노출되지 않도록 평소 관리를 잘하는 것이다. 치매는 본인 스스로 증상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의 관심도 꼭 필요하다.

장진웅 기자·도움말=윤보라 건양대병원 신경과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윤보라 건양대병원 신경과 교수
윤보라 건양대병원 신경과 교수

장진웅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