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유래 없는 청년실업이 증가하고 있고, 올해 정부가 지급해야 하는 실업급여의 규모가 작년에 비하여 1조가 더 필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더구나 직장을 못 구한 사람들 상당수는 대졸자들이어서 문제는 더 심각하다. 몇 년 전부터 대전시는 지식재산서비스업 분야를 대전의 주력 산업 중 하나로 선정하여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여러 지원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지식재산서비스업에는 디자인업, 경영컨설팅업 등을 포함하고 있지만 특허, 상표 등 특허청의 업무와 관련이 있는 영역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는 대전시에 특허청, 특허법원, 특허정보원 등의 지식재산 관련 기관이 상주하고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하여 관련 산업이 발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식재산서비스업의 범주에는 변리업은 물론 연구개발이나 특허출원 단계에서 선행 기술이 존재를 확인하고자 할 때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허정보 분석업, 해외 출원을 위한 번역업, 특허정보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관리하는 지식재산 SI 업 등 상당히 많은 영역을 포함한다. 이들 업종의 대부분은 대졸이상의 고급 인력이 필요한 분야이다. 필자가 근무하는 특허사무소 만 해도 이공계 석·박사 인력이 30%에 달한다. 특허사무소는 변리사가 중심을 이루지만 기술분야를 서포트하는 스텝인 이공계 전공 인력, 출원, 심사 과정에서 일어나는 사무 업무를 관리하는 문과계열 관리인력, 영어, 일본어 등 외국어가 능통한 해외 업무 인력 등 다양한 전공의 인력들이 근무하고 있다. 대전지역에서 특허사무소의 증가는 대졸 이상의 일자리를 늘리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겠지만 그 증가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지식재산분야의 새로운 서비스 영역을 창출해 내는 것이 관련 일자리를 늘리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최근 연구개발과 특허출원을 통하여 창출된 연구결과물의 기술 사업화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기술이전, 기술기반 창업 컨설팅 등의 분야에서 관련 일자리가 늘어나고 있다.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많은 변화가 있겠지만 인간이 매뉴얼로 하던 일이 IoT센서, 컴퓨터 등이 하는 일로 바뀔 것이고, 보편적인 일자리는 점점 줄어들 것이다. 이제 서비스업과 같이 인간이 관여해야 하는 일자리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것이 대전시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지식재산서비스업 육성의지가 필요한 이유이다. 박창희 특허법인 플러스 대표 변리사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