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가 저물어간다. 연초에 계획했던 것을 얼마나 이루어냈는지 결산해 보는 시기이기도 하다. 해는 바뀌지만 옛 것을 보내기도 새로운 것을 맞이하기도 쉽지 않다. 변화가 어렵다는 말이다. 그러나 변화에의 도전은 계속되어야 한다.

두뇌의 신경전달은 뉴런의 전기 작용과 시냅스의 화학물질에 의해 연결된다. 화학물질에는 신경전달물질, 펩티드, 호르몬이 있다. 신경세포들은 화학물질을 받아들이는 수용체를 가지고 있고 수용체에 화학물질이 열쇠와 자물쇠처럼 들어맞을 때 신경이 연결되는 것이다. 이 연결에 의해 매 순간 뇌에서 펩티드가 신호를 보내면 몸속의 장기에는 호르몬과 분비물들을 방출하여 우리의 감정 상태를 만든다.

예를 들어 어떤 감정 상태를 오랫동안 반복해 왔다면 그 수용체와 펩티드 사이에는 상당한 결속이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몸은 항상성 유지를 위해 그 감정 상태를 어떻게든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많은 화학물질을 필요로 하게 된다. 우리의 뇌는 효율을 중시하기 때문에 몸에 유익하지 않아도 익숙한 것을 더 좋아한다. 삶에서 익숙한 요소들은 그에 대응하는 탄탄한 신경회로를 갖고 있다. 변화를 위해서는 반복적인 자극을 통해 그동안 형성시켜 온 신경화학적 회로를 끊어야 한다. 그러나 몸이 화학물질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변화가 어려운 것이다.

우리 뇌에서 의도적인 선택과 행동의 중추는 전두엽이라 할 수 있다. 변화를 위해서는 전두엽의 자각과 결심, 의지, 실행능력이 필요하다. 그래야 자동적이고 습관적인 생각과 감정, 행동을 멈출 수 있기 때문이다. 전두엽을 사용해 의지를 사용할 때 신경화학적 반응의 고리를 끊을 수 있다. 전두엽은 새로운 과제를 배울 때 활성화 되고 과거에 형성된 익숙한 신경회로들이 작동할 때는 전두엽은 잠잠하다. 우리가 이미 아는 것, 자동화된 것들이 실행 될 때에는 편안하고 안정적이지만 변화의 동력은 생기지 않는다.

우리가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깨어있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집중이 필요하다. 이 때 전두엽이 활성화된다.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도 매일매일 깨어있으란 의미일 것이다. 우선 한 해 동안의 삶을 돌아보고 새해 새로운 계획을 세워보자. 계속해서 계획을 실행하고 점검하자. 이 때 전두엽이 활성화될 것이다. 전두엽이 깨어있을 때 변화가 가능하다. 새해에는 익숙함에서 벗어나 보다 깨어있는 한 해가 되어보자. 이상열 두뇌학습 컨설턴트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