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겨울. 우리 국민에겐 잊을 수 없는 IMF 외환위기라는 역사상 초유의 대량실직 사태를 맞아 노동부 고용센터의 역할이 부각되기 시작됐다. 국민들은 고용센터가 무엇을 하는 곳인지 인식하지 못하거나 그 존재감이 크지 않았으나 IMF 실업대란 이후 실직자의 재취업과 기업의 고용유지에 꼭 필요한 사회안전망으로서의 기능을 인정받게 된 것이다. 이후 2003년 신용카드대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한 노동시장 위기를 겪으면서 소극적 의미의 '실업대책'에서 '일자리창출'이라는 적극적 고용정책 업무 비중이 커져 2010년 7월 1일 부처 명칭도 '노동부'에서 '고용노동부'로 변경했다. 노사갈등을 조정하는 기능에 머물지 않고 일자리 창출을 주도하는 고용정책 주무부처로서의 위상 정립을 하겠다는 의지의 산물이었다.

오늘날 우리나라는 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성장했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통해 국민 개개인이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고용률 70%' 달성을 목표로 전 부처가 협업해 매진 중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리 녹록지 않다. '청년실업', '3포(취업·결혼·출산 포기)세대', '비정규직' 등의 단어가 낯설지 않은 '고용 없는 성장'에 노출돼 있다. 이러한 세태를 반영하듯 지난 6·4 지방선거에서도 예외 없이 후보자 간 선거공약에 일자리 대책이 빠지지 않고 주요 이슈로 제기됐다.

일자리 정책은 단순한 경제정책만이 아닌 교육, 복지 등 사회정책과 문화정책까지 모두 융합돼 빚어지는 정책이다. 하지만 고용과 복지서비스는 각각 고용센터(고용부), 주민센터(지자체) 등에서 제공되다 보니, 업무가 분산되고 예산 운영의 비효율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수혜 대상은 같으나 시행기관이 달라 참여를 희망하는 국민들은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어떤 기관이 제공하는지 알기 어려워 이곳저곳을 찾아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생긴 것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용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고용센터를 중심으로 일자리와 복지 관련 정책업무를 담당하는 관계 부처가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고 고용과 복지서비스를 한곳에서 함께 제공하는 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설립 운영하게 됐다. 우리 지역에서도 지난달 27일 천안 고용복지+센터가 개소했으며, 오는 18일에는 서산 고용복지+센터가 개소를 앞두고 있다. 특히 서산 센터는 전국 최초 문화적 확장형 모델로 북카페, 전시문화공간, 음악감상실 등이 갖춰져 주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조직기능만 한 장소에 모아 물리적 결합만 한다고 해서 모든 일이 일시에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고용센터가 그간의 고용 관련 노하우를 기본으로 복지, 문화를 아우르는 실질적인 지역고용정책의 허브(HUB) 역할을 해 국민 개개인의 편의와 행복을 위한 최대한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다. 지역주민의 많은 관심과 동참을 기대해 본다. 이주일 대전고용노동청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